안녕하세요? 매거진 초이의 ChoiChoi입니다.
2025년부터 대중교통비 더 많이 돌려받으세요
고물가 시대, 대중교통 이용이 많아질수록 부담되는 교통비.
정부는 이런 서민들의 부담을 덜기 위해 대중교통 이용요금의 일부를 돌려주는 ‘K-패스’ 제도를 시행하고 있어요.
그리고! 2025년부터는 다자녀 가구도 K-패스 환급 대상에 포함되며, 적용 지역도 전국적으로 더 확대됩니다.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가정이라면 이 제도, 꼭 알아두셔야 합니다.
1. K-패스란?
K-패스는 대중교통 이용 요금의 일정 비율을 환급해주는 제도예요.
교통비를 줄이고 대중교통 이용을 유도하기 위해 국토교통부가 운영하고 있습니다.
일반인 | 20% 환급 |
청년층 (만 19~34세) | 30% 환급 |
저소득층 | 53% 환급 |
다자녀 가구 (2025년 신설) | 2자녀: 30% / 3자녀 이상: 50% |
- 적용 조건: 월 15회 이상 ~ 최대 60회 대중교통 이용 시
- 환급 방식: 카드 연동 후, 익월 계좌로 환급
- 사용 범위: 시내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GTX 등
2. 다자녀 가구 혜택, 어떻게 바뀌나요?
기존에는 일반, 청년, 저소득층까지만 대상이었지만,
2025년부터는 다자녀 가구도 환급 대상에 포함됩니다!
2자녀 | 30% 환급 |
3자녀 이상 | 50% 환급! |
---> 3자녀 이상 가구는 저소득층에 준하는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특히 학원 픽업, 가족 이동이 잦은 가정이라면 매달 수만 원의 환급도 가능하죠!
3. 적용 지역도 넓어진다!
K-패스는 전국 17개 광역시·도 내 189개 시·군·구에서 운영 중이었는데요,
2025년부터는 아래 지역이 추가돼 총 210개 지역으로 확대됩니다.
* 신규 추가 지역
전북 | 김제, 고창, 부안, 임실, 순창, 진안, 무주, 장수 |
전남 | 곡성, 함평, 고흥, 화순, 장흥 |
경북 | 문경, 고령, 성주 |
강원 | 속초, 평창, 철원, 화천, 인제 |
* 농촌 및 중소도시 주민들도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 것이죠!
4. 어떻게 신청하나요?
- K-패스 홈페이지 접속 또는 지역 교통카드 앱 이용
- 본인 인증 및 카드 등록 (신용/체크카드)
- 매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 익월 자동 환급
* 카드 1장만 등록해도 전국 어디서든 혜택이 적용됩니다.
5. 실제 환급 예시
1) 대학생 A씨 (청년층) :
--- 월 40회 대중교통 이용, 지출 60,000원 → 18,000원 환급 (30%)
2)다자녀 부모 B씨 (3자녀 이상) :
--- 월 50회 대중교통 이용, 지출 90,000원 → 45,000원 환급 (50%)
* 환급 한도는 최대 60회 사용까지 적용되니 참고하세요.
6. 기대 효과는?
- 가계 교통비 부담 완화
- 대중교통 이용 장려 → 탄소 저감
- 다자녀 가구 생활비 실질적 지원
- 전국 확대를 통한 지역 균형 정책 실현
7. 문의처
-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광역교통경제과
☎ 044-201-5082 - K-패스 홈페이지
👉 https://www.kpass.or.kr
# 요약
시행일 | 2025년 1월부터 확대 적용 |
신규 혜택 | 다자녀 가구 환급 비율 신설 (2자녀 30%, 3자녀 이상 50%) |
지역 확대 | 전북·전남·경북·강원 등 21개 시군 추가 |
신청 방법 | 카드 등록 후 월 15회 이상 사용 시 자동 환급 |
환급 한도 | 최대 월 60회 이용까지 적용 |
# 마무리하며
버스나 지하철을 탈 때마다 쌓이는 교통비.
이제는 현명하게 돌려받으세요!
2025년부터는 다자녀 가구도 K-패스로 실질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타기만 하면 돌려받는다!
K-패스로 교통비는 줄이고, 혜택은 늘리세요.”
블로그를 구독하신 분들께 더 많은 정책 혜택 정보도 정기적으로 전해드릴게요!
공감 & 댓글로 함께 소통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