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매거진 초이의 ChoiChoi입니다.
5월28일부터 인상되는 KTX · SRT 당일 취소 위약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5월 28일부터 KTX·SRT 고속열차 이용객은 당일 승차권 취소 시 위약금이 기존 대비 두 배로 인상됩니다.
또한 승차권 미소지 시 부과되는 벌금(부가운임)도 강화되면서, 열차 이용자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위약금 체계 변경 배경, 새로운 위약금 기준, 부가운임 변경 사항 등을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1. 왜 위약금이 인상되었나?
국토교통부,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에스알(SR)**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위약금 체계를 개편했습니다.
- 좌석 회전율을 높이기 위해: 일부 승객이 수요가 몰리는 시간대에 좌석을 여러 개 예매 후 출발 직전 취소하는 사례가 발생.
- 공정한 좌석 이용을 유도하기 위해: 열차를 이용하고자 하는 다른 승객들이 좌석을 구하지 못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
- 환불 남용 방지: 위약금 강화로 불필요한 좌석 점유를 줄이고,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치입니다.
2. 주요 변경사항 요약
1) KTX·SRT 주말·공휴일 위약금 인상
기존에는 주말(금요일~일요일)과 공휴일 이용 시 다음과 같은 위약금이 적용되었습니다.
구분 | 기존 | 변경(5월 28일부터) |
출발 1일 전까지 취소 | 400원 | 400원(변경 없음) |
출발 당일 3시간 전까지 취소 | 10% | 10%(변경 없음) |
출발 당일 3시간 전 이후~출발 전까지 | 10% | 20%로 인상 |
출발 이후 20분 이내 취소 | 15% | 30%로 인상 |
예시:
- 서울-부산 주말 승차권 취소 시
즉, 출발 당일에 취소할 경우 위약금이 두 배로 늘어납니다.
2) 주중(월~목) 취소 수수료는 기존과 동일
주중에는 기존 위약금 체계가 유지됩니다.
- 출발 3시간 전까지 취소 시 수수료 없음
- 출발 3시간 이후부터 출발 전까지 5%
- 출발 후 20분까지 15%
- 이후 시간 경과에 따른 기존 부과 체계 유지
3) 승차권 미소지 시 부가운임 2배 인상
구분 | 기존 부가운임 | 변경 부가운임(10월부터 적용) |
승차권 없이 탑승 시 | 기존 운임의 0.5배 | 기존 운임의 1배 |
예시:
- 서울-부산 무표 탑승 시
단, 부가운임 인상은 계도 기간을 거쳐 2025년 10월부터 본격 시행될 예정입니다.
3. 무엇을 주의해야 하나?
- 5월 28일 이후 열차 출발 기준으로 새로운 위약금이 적용됩니다.
- 주말 및 공휴일 이용 시 특히 취소 타이밍을 신중히 결정해야 합니다.
-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출발 당일 취소를 가급적 피하는 것이 수수료 부담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 승차권을 소지하지 않고 열차에 탑승하는 일은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
4. 요약정리
- 5월 28일부터 KTX·SRT 주말·공휴일 당일 취소 위약금 2배 인상
- 승차권 미소지 시 부가운임도 10월부터 2배 인상
- 좌석 점유 남용 방지, 공정한 이용 문화 조성 목적
- 주중 이용 시 기존 규정 유지
- 무표 탑승 시 대폭 벌금 부과 예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