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매거진 초이의 ChoiChoi입니다.
연봉 협상이나 이직을 고민 중이시라면, 연봉만큼 중요한 것이 실수령액입니다. 고용계약서에 적힌 숫자는 '세전 금액'이며, 실제로 통장에 입금되는 금액은 세금과 4대 보험 등이 공제된 후의 금액이죠. 오늘은 2025년 기준 연봉별 실수령액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실수령액이란?
실수령액이란 월급에서 각종 세금 및 4대 보험료를 공제한 후 실제로 수령하는 금액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급여 명세서를 받을 때 '공제 후 금액' 또는 '입금 금액'으로 표기되는 부분이죠. 동일한 연봉이라도 부양가족 수, 비과세 수당의 유무, 연말정산 결과에 따라 실수령액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 비교보다는 자신의 상황에 맞는 계산이 필요합니다.
1. 공제 항목 간단 정리
-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의 4.5%
- 건강보험: 기준소득월액의 3.545%
-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12.95%
- 고용보험: 기준소득월액의 0.9%
-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근로소득에 따른 누진 세율 적용
예를 들어, 월급이 400만 원이라면 건강보험료는 약 14만 원, 국민연금은 약 18만 원, 고용보험은 약 3.6만 원, 장기요양보험은 약 1.8만 원 수준입니다. 여기에 소득세와 지방소득세까지 더하면, 공제 총액은 50만 원 안팎이 될 수 있습니다.
2. 연봉별 실수령액 (2025년 기준, 비과세 제외)
연봉(원) | 세전 월급 | 공제액 합계 | 예상 실수령액 |
35,000,000 | 2,916,667 | 약 400,000 | 약 2,516,667 |
40,000,000 | 3,333,333 | 약 450,000 | 약 2,883,333 |
50,000,000 | 4,166,667 | 약 550,000 | 약 3,616,667 |
60,000,000 | 5,000,000 | 약 650,000 | 약 4,350,000 |
70,000,000 | 5,833,333 | 약 750,000 | 약 5,083,333 |
80,000,000 | 6,666,667 | 약 1,000,000 | 약 5,666,667 |
100,000,000 | 8,333,333 | 약 1,300,000 | 약 7,033,333 |
120,000,000 | 10,000,000 | 약 1,700,000 | 약 8,300,000 |
150,000,000 | 12,500,000 | 약 2,400,000 | 약 10,100,000 |
200,000,000 | 16,666,667 | 약 3,500,000 | 약 13,100,000 |
250,000,000 | 20,833,333 | 약 5,000,000 | 약 15,800,000 |
300,000,000 | 25,000,000 | 약 6,300,000 | 약 18,700,000 |
※ 위 수치는 부양가족 1인 기준, 비과세 항목 미반영 시의 예시입니다. 실제 수령액은 개인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실생활 예시: 내가 받을 돈은 얼마일까?
예시 1: 연봉 5천만 원, 비과세 수당 없음, 부양가족 1명
- 세전 월급: 4,166,667원
- 공제 예상: 약 550,000원
- 실수령액: 약 3,616,667원
- 연간 실수령액: 약 43,400,000원
예시 2: 연봉 5천만 원, 식대 비과세 10만 원 포함
- 식대 10만 원은 비과세 항목으로 공제 대상에서 제외됨
- 실수령액 증가: 약 10만 원 × 12개월 = 120만 원
- 실질 연간 수령액: 약 44,600,000원
4. 실수령액 계산기 활용하기
더 정확한 계산이 필요하시다면 온라인 연봉 계산기를 활용해보세요:
보다 정확한 금액이 궁금하시다면, 온라인 연봉 계산기를 활용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특히 이직이나 이직 제안을 받을 때, ‘지금 받는 월급보다 정말로 더 좋은 조건일까?’라는 질문에 빠르게 답할 수 있죠.
이러한 계산기는 부양가족 수, 비과세 항목, 지역세, 4대 보험 가입 여부 등을 입력하여 보다 현실적인 실수령액을 알려줍니다.
5. 연봉 협상 팁
- 연봉 협상을 준비 중이라면, 아래 내용을 체크해보세요:
- 실수령 기준으로 생활비 계획 세우기
- 비과세 수당 여부 확인하기
- 복리후생도 연봉의 일부
- 성과급, 스톡옵션, 인센티브 여부 확인
# 함께 보면 좋은 글
직장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4대 보험 완전 정리
회사에 다니면 매달 월급명세서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항목, 바로 4대 보험입니다. 하지만 '도대체 이건 왜 떼는 걸까?', '어떻게 활용되는 걸까?' 궁금했던 분들 많으시죠?오늘은 직장인이라면
magazine-choichoi.tistory.com
# 마무리하며
연봉은 곧 ‘나의 생활 수준’을 결정짓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그러나 세전 연봉만 보고 이직하거나 협상하는 것은 자칫 오해를 부를 수 있어요. 실수령액 기준으로 정확하게 계산하고, 생활비 및 저축 계획까지 고려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입니다.